Home Tags Posts tagged with "1+2월합본호"

1+2월합본호

0 1400

세르비아식 새해

열정적이고 흥겨운 일을 좋아하는 세르비아 사람들은 명절을 좋아해요. 한 해의 마지막 날은 세르비아 사람들에게 가장 큰 명절이에요. 새해 전 날을 1850년에 법적 공휴일로 지정한 사람은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 치(Aleksandar Karadjordjevic)라고 알려져 있어요. 세르비아의 고유 달력인 율리우스력을 보존하는 일에 강한 의지와 순종적(뜻: 쉽게 조종당하지 않음)이지 않은 태도를 보였던 우리 조상들은 1월 13일을 1년 중 가장 큰 명절로 만들었어요. 동방 정교회 신년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 날은 러시아와 그리스의 동방 정교회 수도승들, 일본의 동방 정교회인도 기념하고는 해요. 공화주의자나 공산주의자들이 세르비아식 새해를 억 압할수록, 세르비아 사람들은 자신들의 고향에서 시작한 이 명절을 창의적으로 즐길 방법을 찾아낼 거예요!

 

Serbian New Year

Serbians, being very passionate and merry people, love their celebrations. The last night of the year, however, is the time for the biggest one of all. Little do they know that it is all thanks to Prince Aleksandar Karadjordjevic, who issued a law in 1850 stating that the New Year’s Eve
is to be a public holiday. As we are also very strong-willed and not too obedient (read: not easily manipulated), my ancestors decided to follow their own date (Julian calendar) for celebrating the craziest night of the year – on January 13th. This can also be called Orthodox New Year as it is celebrated by Russians, some monks in Athos (Greece) and even orthodox Christian Japanese. The more this ‘Serbian New Year’, as it started to be called in my homeland, was repressed (by some other republics and then the communists), the more stubborn Serbs found creative ways to party!

 

아랍식 새해

오만이나 다른 아랍 국가에서는 올해가 아랍식으로 1441년, 이번 달은 주마다 알아우왈(Jumada Al- Awal)월에 해당해요. 이슬람력은 기원후622년에 시작됐어요. 기원전 622년은 마호메트 무함마드가 태어난 도시인 메카를 떠나 메디나에 처음 이슬람 국가를 설립한 해예요.

 

흥미로운 사실: 아무도 매달이 며칠인지(29일인지 30일인지) 알지 못해요. 이슬람력은 음력 기준인데, 음력상 새로운 달은 29일 밤 보름달이 떴을 때 시작해요. 29일에 보름달이 뜨지 않으면, 한 달은 30일이에요. 세계 공통인 양력(그레고리력) 기준이라면 아랍식 새해맞이 명절은 특별해지지 않아요. 심지어 새해 첫날에 일까지 해야 하는 평범한 하루가 되어버려요(제 생각엔 이날 일하는 것을 금지해야 해요.)! 이슬람식(히지리식)으로 새해엔 며칠의 휴가를 받을 수 있겠지만, 매달 며칠의 휴일이 있는지 미리 알 수는 없어요. 날짜 수는 보름달이 언제 뜨느냐에 따라 달라지니까요!

 

Arabic New Year

In Oman, and other Arab countries, today is the year 1441 and the month is Jumada Al- Awal. The first Islamic year starts from the year 622 AD. This is the year whenProphet Mohammad (PBUH) left Mecca for Medina and established the first Islamic community.

Interesting fact: no one knows how long each month will be – 29 or 30 days. Since this is a lunar calendar, the next month starts if the full moon is seen in the evening on the 29th day. If not, that month will be 30 days long. When it comes the ‘usual’, international or Gregorian calendar, there is no special celebration on New Year’s Eve in this part of the world. It is just a usual day, we even work on January 1st which, in my humble opinion, should be forbidden! For the Islamic or Hijri New Year, however, we get a few days off; unfortunately, you can never know in advance what dates will your holidays be as it all depends on the Moon!

 

인도식 새해

인구가 많은 아름다운 나라 인도에서는 종교마다 각기 다른 시간에 다른 방법으로 새해를 맞이해요. 케랄라에서 온 제 친구는 4월 14일에 새해를 맞아요. 매년 이날이 되면 가족들은 다양한 요리(대부분 채식요리)와 바나나 잎, 여러 종류의 커리, 종류가 각기 다른 과일과 채소를 준비해요. 음식 가운데는 촛불과 거울을 놓아두어요. 아침에 일어난 모든 사람은 식탁 앞에 서서 거울에 비치는 음식과 촛불의 빛을 바라보아요. 이 의식을 하면 가족들에게 한 해 동안 풍요와 번영을 가져온다고 믿어요.

Indian New Year

In this beautiful and populated country, different regions celebrate New Year’s Eve at different times and in different ways. For my colleague from Kerala, the New Year comes on 14th of April. Every year on this day, families make a variety of mostly vegetarian food and serve it on banana leaves – many types of curries, a lot of different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middle of all the food, a lamp is lit, and the mirror is placed. Whoever wakes up in the morning, comes straight to the table and looks in the mirror to see the reflection of the food and the light from the lamp. This is believed to bring the family abundance and prosperity in the year to come.

 

터키의 새해

터키에서는 새해 전날 집안의 가족끼리 모여 새해를 맞아요. 몇 잔의 음료를 마시고 말 타기 같은 게임을 하는데, 아이들에게 용돈을 주기 위해서예요. 터키 사람들은 한 해의 마지막 날을 주로 광장이나 콘서트, 클럽, 바 같은 집밖 장소에서 기념하곤 했어요. 그러나, 2017년 12월 31일 자정 직후에 일어난 총기난사 사건(이슬람 국가 소속의 테러리스트가 테러를 기획하고 실행함)이 39명의 사람을 죽이고 많은 사람을 다치게 한 이후로 명절 풍경을 전부 바꾸었어요. 터키 사람들은 각자의 집이나 친구들의 집 안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것을 좀 더 선호하게 되었어요.

 

Turkish New Year

In Turkey, this beautiful night is usually celebrated within family circles. This usually entails having ‘a few’ drinks and playing games such as ‘horse racing’ with the intention to help children get some monetary gifts. Turkish people used to celebrate the last day of each year outside, in the squares, at concerts or in the clubs and bars. However, the mass shooting (a terrorist attack/revenge staged by The Islamic State) that took place in 2017, December 31st right after midnight and in which 39 people were killed and many injured, changed all that. Turkish people are much more comfortable and safe staying indoors in their or their friends’ homes.

올해가 우리 모두에게 풍요와 번영, 평화를 가져오기를.
당연히, 좋은 성적도 따라와야겠죠?

May this year bring lots of abundance, prosperity and peace to us all.
And of course, excellent grades to you.

 

알렉산드라 미니치 ● 번역 김나래 ● 진행 황정원 ●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MODU 정기구독 신청(계좌이체) MODU 정기구독 신청(카드)

 

 

MODU 정기구독 신청(계좌이체) MODU 정기구독 신청(카드)

0 1386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요술쟁이 할머니의 부탁으로
‘파랑새’를 잡기 위해 모험을 떠난 틸틸과 미틸. 7명의 아티스트가
그 뒤를 따랐다. 작가의 시선으로 풀어낸 파랑새의 의미가 궁금하다면, 그리고 나만의 파랑새를 찾고 싶다면 지금 바로 떠나보자.

 

INFO

기간  2020년 3월 1일(일)까지
시간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금, 토요일은 오후 8시까지, 입장 마감 관람 종료 1시간 전)
장소 뚝섬미술관
요금 성인 1만5000원, 청소년 1만2000원

파랑새, printed on canvas © 신나라

Chapter Ⅰ. 틸틸과 미틸의 방
“행복의 파랑새를 찾아서”

가라앉은 새벽 공기를 마시며 고요한 숲을 걷는 것, 마음을 비우고 몸에 느껴지는 감각에 집중할 때의 자유로운 기분. 신나라 작가는 행복을 이렇게 정의했다.

숲속 곳곳의 파랑새 중 인물이 선택한 파랑새는 단 한 마리. 과연 어떤 ‘행복의 파랑새’일지 절로 궁금해진다.

 

 

 

Latent utopia no.11, 162.2×390.9cm, oil on canvas, 2018 © 김경화

Latent utopia no.5, 130.3×162.2cm, oil on canvas, 2016 © 김경화

Chapter Ⅲ. 추억
“과거의 행복에얽매여 있지 않나요?”

바다를 걷는 백마와 어두운 방 안의 목마. ‘잠재적 유토피아’ 시리즈를 작업한 김경화 작가는 푸른색과 분홍색, 자줏빛을 활용하고 작품마다 말을 등장시켜 현실에서 조금 벗어난 몽환적인 분위기를 그려낸다.

 

 

 

 

 

Chapter Ⅳ. 불행
“어둠이 있어야 빛이 있듯, 행복과 불행은 동전의 양면”
공원에서 돗자리를 펴고 느긋하게 피크닉을 즐기는 사람들. 평화롭고 여유로워 보이지만 나무의 모습이 수상하다. 영상 작품이라 마치 사람들을 감시하듯 도록도록 눈알을 굴리는 새들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수상한 피크닉, 영상 © 메아리

두 사람 2, printed on canvas © 정수지

 

Chapter Ⅷ. 일상의 행복
“행복은 언제, 어디에나 존재해”

행복 나를 모르겠어? 설마 우리 중 아무도 알아보지 못하는 거니?
틸틸 응, 모르겠어. 난 너희들을 본 기억이 없어.
행복 얘들아, 모두 들었니? 틸틸이 우리를 본 적이 없대!(무리의 모든 행복이 웃음을 터뜨린다.)
틸틸과 미틸은 자신들의 집, 창문이 터질 정도로 행복이 가득 찬 집에 사는 행복을 알아보지 못했다. 정수지 작가는 이처럼 내 곁, 일상 곳곳에서 피어나는 행복을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별로 표현했다. 크리스마스트리로 장식한 집에서 눈 오는 창밖을 바라보는 두 사람의 그림자가 따뜻해 보인다

One spring day, Acrylic and finger wax on canvas, 2019 © 전다래

Chapter Ⅹ. 행복
전다래 작가에게 행복이란 ‘불행하지 않은 것’. 작가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삶을 수놓는 행복처럼 다양한 파스텔톤의 왁스를 흩뿌려 캔버스에 무지개꽃을 피웠다.

 

글 전정아 ●사진 제공 뚝섬미술관

 

MODU 정기구독 신청(계좌이체) MODU 정기구독 신청(카드)

0 1903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작가 심에스더·최은경 대담

꼭 알아야 할 주제임에도 말하기 어렵고 부끄러운 ‘성’. 편견과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아름답게 이야기할 수 있는 성을 만들고픈 기자와 성교육 강사가 만났다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를 함께 만들게 된 계기가 궁금해요.

최은경(이하 최) 지난해에 유독 성 스캔들이 많았잖아요. 아이들이 성매매가 뭐냐고 물어보는데 설명하기가 참 어렵더라고요. 그래서 드라마나 뉴스에 등장하는 성범죄 이슈를 제대로 설명해주고 싶었어요. 일단 내가 성지식이 거의 없어서 성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나갈 수 있는 분과 함께 다뤄보고 싶었죠. 그렇게 섭외한 게 심 작가님이었고요.

심에스더(이하 심) 처음엔 책까지 쓸 생각은 없었어요. 간단한 인터뷰인 줄 알고 통화로만 40분을 설명했는데 알고 보니 단행본을 꾸릴 분량의 원고 청탁이었던 거 있죠.(웃음)

출간 전 온라인 뉴스로도 몇 가지 에피소드를 공개했었는데 여러 출판사에서 단행본으로 만들어보자는 제의가 왔어요. 나만 그런 게 아니라 모두가 ‘성’ 이야기에 갈증을 느꼈다는 거겠죠.

독자들의 반응은 어떤가요?

예상 독자는 성을 고민하고 자유롭게 얘기하고 싶은 사람들, 특히 여성들이었어요. 그 마음이 전해졌는지 ‘아이 성교육을 하려다 내가 성교육을 받았다’는 어머니들의 평이 많았어요. 성매매, 피임, 생리 같은 단어는 내 입으로 하기 왠지 민망한 말이잖아요. 그런데 이런 말도 여러 번 입 밖으로 내는 연습을 하면 자연스러워져요. 내가 먼저 자연스럽게 이야기해야 아이들에게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제대로 가르쳐줄 수 있거든요. 이 책이 그런 연습을 할 수 있게 돕는 거죠.

우리가 동양인이라, 유교 국가라 이런 말이 어려운 걸까요? 아니에요. 미국이나 덴마크도 마찬가지예요. 부모가 하는 성 이야기는 다들 어려워하죠. 그래서 몇 번이고 말해서 익숙해지고, 가정 속에서 성 이야기를 배제하지 않도록 이야기를 꾸렸어요. 우리가 진짜 얘기하고 싶었던 것은 ‘성을 어떻게 볼 것이냐’, 즉 성을 대하는 태도예요. 금기시했던 말은 소리 내어 해보면서 마음의 얼음을 깨보는 거예요. 말에는 힘이 있거든요.

직접 읽어보니 책을 좋아하고, 성에 호기심이 있는 친구들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만큼 내용이 어렵지 않았는데요. 많은 에피소드 중에서도 아이들에게 직접 들려주고 싶었던 이야기는 무엇이었나요?

성은 야하고 자극적이기만 해서 재밌는 게 아니라 유쾌하고, 따뜻하고, 위험할 때도 있지만 실수하면 회복할 수도 있는 입체적인 모습이라는 걸 알려주고 싶었어요. 그래서 성을 능동적으로 누릴 수 있게 되면 그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고, 거부해야 한다면 거부하고, 또 절제할 수 있는 주도권을 가지는 거죠. 이미 왜곡된 성 인식, 성에 관한 편견이 있으면 깨기가 너무 어려워요. 그래서 어릴 때부터 성 정체성, 성역할, 성별 때문에 차별받는 게 무서운 거고요.

맞아요. 그리고 ‘성에 대해 부끄러워하지 않아도 되는 거구나’라는 걸 알려주고 싶었어요. 아이들이 성을 편견 어린 시선으로 보지 않았으면 한 거죠. 모두가 어려워하는 성 이야기를 굳이 꺼내 보여야 하는 이유가 뭔가요?

방이 지저분하고 더러우면 청소하고 싶다는 생각도 안 들고, 그러다 보니 계속 더러워져 결국은 그 상태에 익숙해져버릴 때가 있잖아요. 마찬가지예요. 성을 쉬쉬하고, 어떤 단점이 있는지에만 포커스를 맞추면 유쾌한 성을 모르게 돼요. 쾌락을 넘어서 관계의 안정감과 기쁨 등 따뜻한 성을 안 친구들은 나쁘거나 잘못된 성 이슈를 봤을 때 자신의 아름다운 가치관에 비춰서 왜곡된 성은 잘못됐다는 걸 알거든요. 그럼 결국 나를 함부로 하려는 사람을 만나지 않을 수 있겠죠.

또 요즘은 유튜브나 미디어 영향을 무시할 수 없잖아요. 자극적인 콘텐츠가 난무하는 세상에서, 터치 한 번으로 볼 수 있는데 아이들이 보지 못하도록 막을 방법이 없죠. 대신 성 이야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정 분위기라면 이 영상을 보고 기분이 어땠는지, 뭐가 재밌었는지 물어보면서 관심을 가질 수 있거든요. 간섭 대신 관심이 이어지면 아이들이 숨기지 않고 먼저 말하게 되고요.

요즘 학생들은 부모보다 교사와 함께하는 시간이 더 길잖아요. 선생님들이 알아야 할 성지식은 조금 다를 것 같은데요.

선생님이라면 피임, 성교, 생리 도구 등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편견 없이 제공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죠.

선생님과 아이들의 관계는 생활이에요. 자주 만나고 익숙한 선생님들이 제대로 된 정보를 알려주고, 섬세하게 접근해준다면 좋겠어요. 또 초등학생 정도로 어린 아이들에게는 남자와 여자가 아니라 인간 대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매너와 태도를 알려줬으면 하고요.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을 중고등학생 친구들에게 꼭 해주고픈 말이 있다면요?

힘들고 긴 이야기가 되겠지만 여자 친구들이 약자로서의 불편함을 이야기하는 이야기하는 것에 지치지 않길 바라요. 그리고 ‘난 성차별, 그런 거 안 해’라고 말하는 남자 친구들! 인종차별은 인정하지 않나요? 우리나라에서 인종차별로 피해를 입어본 적이 없으니, 즉 기득권을 내려놓지 않아도 되니 이해하고 인정하기 편한 거예요. 성차별이 있다는 걸 인정하고, 좀 더 성숙하다면 차별에 일조한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죠.

음…. 전 프롤로그에 적은 것처럼 아이들에게 초경이나 피임에 대해 질문했을 때 주눅 들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누군가 얼굴을 평가해도 당당할 수 있도록 내 몸을 긍정하는 자세를 가지고요. 또 내가 하고 싶은 ‘사랑’이 뭔지 고민해보길 바라요. 나를 중심으로 잡으면 공부, 일, 사랑 모두 만족스럽게 해낼 수 있을 테니까요.

 

글 전정아 ●사진 손홍주

 

MODU 정기구독 신청(계좌이체) MODU 정기구독 신청(카드)

0 1359

겨울이면 손끝이 노래지도록 까 먹는 귤이 제맛!
탱글탱글 맛있는 귤이 어우러진 디저트를 만들어봤어.
쿠키로 타르트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줄게.

 

 

• 비타민 C가 풍부해 감기를 예방하고 안구건조증과 야맹증, 각막 연화증을 예방하는 베타카로틴이 함유돼 있어.
• 체내 유익균을 보호하고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헤스페리딘이 있어 당뇨와 고혈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 귤 겉껍질 안쪽에 붙은 그물 모양의 껍질에는 섬유질과 펙틴이 많아 변비와 소화 불량을 해소해줘. 또 항균·항바이러스 작용을 하는 비타민 P가 풍부해 몸에 해로운 산화 작용을 억제하고, 피부와 혈관 내피세포를 단단하게 해.
• 껍질이 얇고 단단하며, 크기에 비해 무거운 게 과즙이 많아. 귤을 겹쳐서 보관하면 상하기 쉬우니 바구니에 담아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두고 신문지로 덮어서 보관하면 돼.
• 귤껍질에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농약이나 피막제가 묻어 있을 수 있으니 소금으로 문질러 씻어 먹는 게 좋아.

 

Recipe

01 귤껍질을 벗기고 알맹이에 붙은 속껍질을 모두 떼어내. 속껍질을 그냥 손으로 벗겨내면 알맹이가 터질 수 있어서 껍질 끝부분을 가위로 살짝 잘라 벗겨내는 게 좋아. 따뜻한 물에 귤을 5분 정도 담가두면 껍질이 더 쉽게 까져.

 

02 지퍼백에 통밀 쿠키를 7~8개 정도 넣고 지퍼백 입구를 꼭꼭 눌러 닫은 뒤 두 손으로 쿠키를 잘게 으깨. 고운 가루가 될 때까지 으깨야 반죽할 때 부서지지 않고, 부드러운 타르트를 만들 수 있어. 빈 병이나 밀대로 밀면 잘게 으깨기 쉬워.
Tip 계피나 정향 맛이 나는 쿠키를 함께 넣어 으깨면 더 풍미가 좋아. 타르트를 크게 만들고 싶으면 쿠키 양을 늘리면 돼.

 

03 잘게 으깬 쿠키를 그릇에 담고 버터 1큰술과 달걀 1개를 넣어 반죽해. 버터는 전자레인지에 40초 정도 녹이고, 달걀은 미리 풀어서 섞으면 반죽이 골고루 돼. 쿠키 양이 많으면 달걀과 버터 양을 추가해서 반죽 농도를 알맞게 조절해줘.
Tip 반죽이 잘 안 붙고 부서지면 버터를 좀 더 녹여서 넣어주면 되는데, 너무 많이 넣으면 짠맛이 강해질 수 있어.

 

04 움푹한 그릇에 유산지(종이호일)를 깔고 반죽한 것을 꾹꾹 눌러 담아. 유산지가 없으면 종이컵에 반죽을 넣어도 돼. 타르트 둘레 부분을 두툼하게 다져줘야 타르트를 그릇에서 빼낼 때 으깨지지 않아. 그릇 안쪽에 버터나 식용유를 얇게 바르는 것도 팁!

 

05 반죽이 익을 때 너무 부풀지 않도록 포크로 반죽 가운데를 콕콕 찍어 구멍을 내고, 전자레인지로 1분 30초~2분 정도 익혀. 전자레인지마다 성능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3분까지 익혀도 돼.

 

06 타르트가 익으면 약간 식힌 후 플레인 요구르트와 귤로 토핑하자. 귤을 사이사이에 촘촘히 올리면 더 풍성하고 맛있게 보여. 플레인 요구르트 대 크림치즈와 생크림을 1:1 비율로 섞어 올려도 돼.
Tip 슈크림으로 토핑하면 더 진한 풍미를 느낄 수 있어. 그릇에 달걀노른자 1개, 설탕 6스푼, 녹인 버터 1스푼, 우유 200㎖, 밀가루 2스푼, 바닐라 아이스크림 6스푼을 넣고 섞은 후 전레인지로 1분 30초 정도 가열하면 맛있는 수제 슈크림을 만들 수 있지.

글•사진 강서진

    

 

MODU 정기구독 신청(계좌이체) MODU 정기구독 신청(카드)

0 1326

명문대 3개교 모두 모인 회기역에서 하루 종일 놀아보기

골목, 숨이 트이다
회기 벽화골목

 

독서 중인 사람들의 머리에 계기판이 이어져 있어. 꼭 ‘주입식 교육’을 연상시키는 것 같지 않아? 

마녀가 백설공주에게 건네는 ‘애플’ 수류탄.

경희대학교 미술대학 학생들의 벽화로 특별한 색깔을 찾은 회기동 골목이야. ‘공공 미술 프로젝트’여서 그런지
그저 화려하고 귀여운, ‘포토 존’ 역할만 하는 벽화가 아니라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점이 인상적이었어.

 

회기에서 제일 예쁜 카페
컴투레스트

 

생초콜릿처럼 진하고 녹진녹진한 디저트 ‘테린느’를 쿠키에 샌드한 메뉴 ‘말차 테린느’와 고소함이 일품인 ‘아인쑥페너’를 시켰어.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핫한 회기역 카페. ‘컴투레스트’는 갈색과 녹색이 어우러진, 아늑한 카페야. 인테리어 곳곳에 ‘갬성’이 묻어나는데, 채광이 좋아 셀카도 잘 나오더라

 

외대의 새로운 문화 공간
이문일공칠

한국외대 캠퍼스 내부에 있던 기념품점도 ‘이문일공칠’로 모두 옮겼어. 외대 굿즈를 사고 싶다면 이제 요기로!

 

‘문화상점 이문일공칠’은 카페 겸 서점이야. 평범한 북카페 같은 느낌이지만 특별한 날에는 외대생과 이문동 주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기도 한다고. 지도로 검색해서 찾아오려면 ‘외대 서림’을 도착지로 설정해서 검색하는 게 빨라(캠퍼스 내에서 한참 헤맨 사람의 조언).

 

흰 벽에 붙여놓으면 예쁠 것 같아 데리고 온 미니 포스터.

 

시립대 재학생 PICK!
망우로 30

 

뚱한 표정의 고양이가 그려진 컵에 담겨 나오는 ‘크림바닐라’ 추천. 수제 우유 크림을 커피에 띄운 건데, 부드러운 달달함이 딱 맘에 들더라.

탐스러운 감나무, 자갈 깔린 널찍한 마당. 누가 봐도 가정집 외관의 ‘망우로 30’은 서울시립대 홍보대사 선배들도 꼽는 핫한 카페야. 진짜 주택을 개조해서 이 방 저 방 들어가보는 재미가 있었어. 다음엔 마당에 놓인 벤치에 앉아 바람을 즐기며 커피를 마셔보고 싶어.

 

막걸리 없어도 괜찮아
회기 파전골목

 

모둠전 한 장이 이렇게 클 줄이야. 김치, 고기, 해물파전이 한 장으로 구워져 나오는 전인데,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해서 ‘맛있다’를 연발하며 먹었어.

회기역’ 하면 다들 떠올리는 파전골목. 다닥다닥 붙은 파전집 간판들과 1980년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듯한 빈티지한 가게들이 참 잘 어울렸어. 예전 대학가의 낭만이 가득한 이곳은 비 오는 날 꼭 가보길 추천! 가족 단위 손님도 많으니 술 못 마시는 나이라고 걱정하지 말 것.

 

글 ●사진 전정아

 

MODU 정기구독 신청(계좌이체) MODU 정기구독 신청(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