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Tags Posts tagged with "공부법"

공부법

공부할 의지가 안 생겨요!

우리도 안다. 공부해야 성적이 오른다는 건! 그런데 게임도 너무 재밌 고, 휴대폰도 자꾸 울리잖아. 도저히 공부할 의지가 안 생기는 걸 어떡 해? 그래서 MODU가 대신 물었다. 공부에 도가 튼 선배는 어떻게 의지 근육을 길렀을까?

채널주 PICK!
‘내가 연세대학교에 오기까지’
댓글이나 DM으로 받은 고민에 도움이 되고자 내가 직접 겪은 이야기를 공유하려고 찍은 영상이야. 유학생, 새내기 시절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개인적인 팁을 솔직하게 담은 영상이라 더 애착이 가. 누가 이런 사소한 이야기에 관심을 가져줄까 했는데, 벌써 조회 수가 14만 회를 넘었더라고? 알고리즘의 마음은 알다가도 모를 일!

MENTOR

크리에이터 정종윤
유튜브 채널 ‘종윤’의 크리에이터 정종윤은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HASS 학부 정보인터랙션 디자인 전공 재학 중이다. 미국 사립고등학교를 수석 졸업해
동양인 최초로 졸업 연설을 했으며, 지난해에는 단과대 대표로 국가우수장학생(이공계)으로 선발되기도 했다. 연세대 합격 비법과 대학에서 과탑을 받은 비법, 암기과목 공부법 등의 콘텐츠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공부의 이유는 내 안에서 찾아야 해

목표를 정하고 의지박약을 이기는 것, 쉽지 않지. 나도 공부가 좋아서 하는 건 아니라서 그 마음이 정말 공감이돼.(웃음) 그런데 뭔가를 꾸준히 하려면 먼저 나 자신과 목표 설정을 해야 해. 내가 14살에 혼자 미국 유학을 갔을 때는 Be 동사도 제대로 쓸 줄 모르고 문장 구사도 힘들어서 단어를 붙여 설명하거나 보디 랭귀지까지 총동원해야 하는 심각한 수준이었어. 학교에 한국인은 나 하나라 인종차별도 당했고, 내가 발표할 때는 반 아이들이 뒤에서 킥킥대곤 했지. 그래서 부당하게 무시당하지 않기 위해 우선 영어 실력을 갖추고, 동양인도 공부를 잘할 수 있다는 걸 증명해야 했어.
남들만큼 공부해선 남들만큼의 실력밖에 갖지 못한다는 신념으로, 홈스테이했던 집에서는 무조건 영어만 쓰기 시작했어. 미국 사람들에게는 아무 말이나 걸어보고 혼잣말도 영어로 해보며 필사적으로 영어를 익힌 거야.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해진 이후부터는 원어민만큼 유창하게 말하기 위해 혀를 굴려가며 원하는 발음이 나올 때까지 연습했어. 미국 드라마의 주인공 흉내를 내는 상황극도 하면서 말이야. 그러다 보니 나중에는 꿈에서도 영어로 말하더라.(웃음) 이렇게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내안에서 찾고, 목표를 잡으면 꾸준히 연습하게 되더라고.

오늘부터 인간 플래너

나는 학기 중에는 매일 플래너를 달고 살아. 그리고 매주 일요일마다 그다음 한 주간의 계획을 세우지. 어느 정도 틀을 잡고 시작하는 게 훨씬 수행도가 높거든. 중요한 것은 ‘이 정도면 무조건 할 수 있지!’ 하는 범위 내에서 일일 할당량을 정해야해. 현실적인 요소를 고려해서 목표를 알맞게 나눠두면 압박감도 적고, 할 일을 회피하는 경우도 줄어들어.

나의 목표를 주위에 알릴 것

남들에게 내 목표를 선언하는 것도 좋아. 주변 친구들 몇 명에게라도 일단 말해두면 지켜야겠다는 생각이 들거든. 나는 엄청 어려운 교양과목에서 A+를 받겠다고 한 선배에게 호언장담한 적이 있는데, 뱉은 말을 지키려고 매주 철저하게 복습, 예습을 했고 500장이 넘는 PPT를 세 번씩 읽어가며 당당히 A+를 받을 수 있었어. 목표 선언을 한 덕에 더 이 악물고 할 수 있었던 거지. 의지가 약해졌다면 주변 사람에게 내 목표를 공유해봐!

일단 묻고 시작하러 가!
하기 싫은 일이 생기면 ‘일단’ 그 상황으로 나를 몰고 가는 것도 방법이야. 휴대폰을 하더라도 공부하기로 약속한 시간이 되면 폰을 눈에 안 보이는 곳에 두고 공부를 시작하는 거야. 당연히 책을 펴도, 펜을 잡아도 눈에 내용이 하나도 안 들어올거야.(웃음) 그렇지만 그 순간을 10분만 참으면 어느새 집중할 수 있어. 그래서 스터디 카페나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게 좋아. 다들 공부하는 환경에 나를 몰아넣으면 강제성이 생기거든. 자격증도 마찬가지인데, 일단 시험을 접수하고 나면 응시료가 아까워서라도 공부를 시작하게 되니까 말이야.
공부하면서 멘탈이 나갈 때는 무작정 억누르지 마. 힘든 감정을 회피하면 계속 쌓이기만 해서 결국 언젠간 폭탄처럼 터지게 되거든. 내 감정을 글로 적어보고, 나를 힘들게 하는 문제를 쭉 나열해보면서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지 객관적으로 찾아보길 바라. 중요한 시험이 끝났을 때는 나 자신을 위한 보상도 충분히 해주고!

한시가 급하다면? 종윤 선배의 응급처방 공부법

1. 심벌 만들기

공부는 입으로 말하고, 손으로 쓰며 하는 것! 그런데 너무 많이 필기하다 보면 중요한 부분을 알아보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지. 이럴 땐 ‘색깔 심벌’과 ‘모양 심벌’을 만들어봐. 3색 볼펜을 준비해 아래와 같이 사용하는 거야.

2. 구조화하기
하얀 건 종이고, 검은 건 글씨로다~하며 멍 때리는 시간을 줄여보자! 줄글보다는 직접 넘버링해서 나
열을 하고, 표를 만들거나 그림을 그려보는등 시각화해두면 기억에 더 오래 남아.

3. 인풋과 아웃풋 거치기
암기과목을 3회독 한 뒤에는 백지에 주요 키워드만 써두고 온전히 내 머릿속에 있는 내용만을 끄집어내 디테일을 채우는 아웃풋 과정을 거쳐야해. 그리고 내가 쓴 내용과 책을 비교해보며 틀린 것, 빠진 부분을 확인하고 그 부분을 한 번 더 공부해서 ‘진짜 내 것’으로 만드는 거야.

글·사진 정종윤, 프리픽 ● 진행 전정아

0 998

새 학기 공부 어떻게 해요?

새 학년이 되는 3월이 얼마 남지 않았다. 설렘 반, 두려움 반 으로 새 학기를 기다리는 만큼 학업에 대한 걱정도 클 것이 다. 공부량도, 난도도 높아지는 것에 지레 겁을 먹었다면 주 목하자. 공부 좀 해본 선배가 예비 고1부터 입시를 앞둔 수험 생 모두에게 공부법과 ‘공부 자극’ 한마디를 남겼다.

 

안녕하세요, 저는 이번에 고등학생이 됩니다. 마냥 먼 미래라고 생각한 수능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마음이 조급해지기 시작했어요. 사실 중학교 3년 내내 공부하기 싫어서 놀기만 했거든요. 그래서 공부하는 법 자체를 많이 까먹은 것 같아요.
고등학교 딱! 들어가면 진짜 마음먹고 공부하려고 하는데, 고등학생이 되면 배우는 과목도 달라지고 내용이 어려워질 것 같아서 시작도 하기 전에 벌써 기가 죽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지궁금해서 DM 보내봅니다.


소린TV’ 안소린
유튜브 채널 ‘소린TV’의 크리에이터 안소린은 EBS <공부의 왕도>에 출연하고,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포스텍을 동시 합격해 화제가 된 공부 인플루언서다. ‘서울대생의 공부하기 싫을 때 대처법’, ‘전교 1등 서울대생이 알려주는 국어 비문학 공부법’ 등의 공부 노하우 전수 영상으로 15만 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에 재학중이다.


‘공부 잘하는 친구’로 이미지 메이킹을 해봐
새 학년이 되다 보니 학업에 대한 고민이 많구나. 이럴 땐 두 가지 선택지가 있어. 불안감이나 두려움에 빠져 공부를 회피하거나, 문제를 직면하고 불안감이 사라질 정도로 열심히 하거나! 당연히 후자를 선택하는 게 바람직하겠지?
내 경우는 반에서 ‘공부 잘하는 친구’라는 첫인상을 만들려고 노력했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쉬는 시간에 묵묵히 공부에 집중하면서 이미지 메이킹을 한 거지. 나중에는 그 이미지를 깨고 싶지 않아서 저절로 더 열심히 하게 되더라고.(웃음)

고1이라면 공부 습관을, 고2라면 순공 시간을

이제 막 고등학교에 올라가는 예비 고1이라면 공부 습관을 들이는게 중요해. 고등학생이 되면 중학생 때와는 달리 훨씬 오랜 시간을 가만히 앉아 공부해야 하거든. 막상 하루도 빠짐없이 하려면 정말 힘들지. 그래서 매일 규칙적으로, 일정량의 공부를 하는 습관을 들여야 해.
이미 공부 습관이 몸에 밴 예비 고2에게 팁을 주자면, 모두가 열심히 하는 만큼 더 가속도를 붙여야 해. 스톱워치로 공부 시간을 재면서 ‘순공’ 시간을 늘리는 노력이 필요하지. 등하교 시간, 쉬는 시간, 수업 시간 중 붕 뜨는 시간도 아껴서 공부하면 공부 시간이 상당히 많이 늘어나. 일분일초를 아껴가며 공부해야 성적을 올릴 수 있어.

수험생은 페이스 조절이 필수!
벌써 고3이라니! 막막하긴 하겠지만, 너무 겁먹지는 마. 단, 수능은 장기 레이스인 만큼 전반적인 공부 방향을 잘 설정하는 게 중요하겠지? 장기적인 공부 방향을 세우고, 단기적인 계획을 세워봐. 먼저 과목별로 수능 전까지 어떤 공부를 할 것인지, 어떤 교재를 꼭 풀 것인지 목록을 적어보는 거야. 각 달마다 어떤 교재의 어느 파트를 공부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공부 계획을 세우고 그걸 일주일 단위로, 하루 단위로 세세하게 쪼개가면서 공부 방향에 맞춰 매일 해나가면 돼.
또 주변 친구들에게 너무 휩쓸리지 말 것! 각자 공부 페이스가 다르거든. 이미 공부를 많이 한 친구는 벌써 기출문제를 여러 번 풀고 있을 수도 있고, 어떤 친구는 아직 개념이 부족해서 개념 인강을 듣고 있을 수도 있어. 모두가 자기만의 속도가 있으니까 ‘누구는 실전 모의고사 푼다더라’, ‘누구는 수능특강을 벌써 다 풀었다더라’ 하는 말에 흔들리지 말고 자기의 페이스대로 공부하길 바라.

성적은 계단식으로 오르는 것, 쉽게 포기하지 않아야
공부는 해도 해도 끝이 없고, 성적은 그만큼 오르지 않아서 답답하지? 나도 그런 시기가 있었어. 그런데 성적은 선형이 아니라 계단식으로 오르더라. 오랜 기간 묵묵히 공부한 게 어느 순간 결과로 보이더라고. 그러니 당장 성적이 잘 나오지 않더라도 절대 포기하지 마.
수험생활을 내가 주인공인 영화라고 생각하면 어떨까? 지금은 내가 주인공이 아닌 조연처럼 느껴져도, 열심히 공부해서 성적을 올릴수록 어느새 주연이 돼 있을 거야. 내가 그 경험을 한 당사자거든. 성적 때문에 자존감이 낮아질 때는 ‘이제 내가 반전을 보여주겠어. 나는 곧 주연이 될 거야!’라는 마음으로 치열하게 집중해봐. 성적이 오르고 인정을 받는 그 쾌감과 뿌듯함을 꼭 느끼게 될 거야.

소린 선배가 알려주는 과목별 공부 TIP

글 안소린 ● 사진 안소린, 게티이미지뱅크, 프리픽 ● 정리 전정아

0 656

2022년 3월 102호 청소년 관련 직업

 

Contents

2022. 3월호 | Vol.102

6

이달의 키워드 뉴스

 

8

키워드로 보는 이슈

NFT

 

10

만나고 싶었어요

㈔디지털리터러시교육협회 김묘은 대표


SPECIAL

Youth Can Do It!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세상의 주인, 청소년

16

직업 탐구① 청소년정책연구원

20

직업 탐구② 청소년지도사

 

24

직업 탐구③ 청소년상담사

 

28

직업 탐색기 청소년 관련 직업 6

30

학과 탐구 청소년학과

34

문화로 보는 직업 세계


 

36

MODU의 채널

 

38

COVER STAR

장혜빈(서초고 1)

 

40

창업창직

‘소이프’ 고대현 대표

44

요즘 뜨는 학과

세종대학교 양자원자력공학과

 

46

모두의 공부법

공부할 의지가 안 생겨요!

48

진로 탐구 생활

서초스마트유스센터

 

52

이달의 공모전

 

54

J기자의 책방 탐방

역사책방

 

56

MODU의 아트

테레사 프레이타스 사진전

60

MODU의 문화

 

62

MODU의 서재

스스로 인생을 설계하는 금융 공부

 

64

MODU의 카툰

 

 

 


<MODU> 정기 구독(신규 및 연장)은 MODU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 modumagazine.co.kr

인스타그램 : modu_magazine

페이스북 : modumagazine

문의 : 02-6377-0516(구독문의),  010-6633-1318(문자 수신만 가능)

0 531

Contents
2022. 1·2월호 | Vol.101

06       이달의 키워드 뉴스

08       키워드로 보는 이슈 CES

10       만나고 싶었어요 곽지혜 재생에너지전문가

SPECIAL 기상 직업군은 오늘도 맑음

16    직업 탐구Ⅰ
기상청 예보분석관

22    직업 탐구Ⅱ
기상 전문 기자

26    직업 탐구Ⅲ
기상 컨설턴트

30    직업 탐색기
기상 직업 모아보기

32    학과 탐구
대기과학과

36    콘텐츠로 보는 직업 세계

38        MODU의 채널

40        COVER STAR

             최정우(청주신흥고 3)

42        직업의 재발견

            간판제작자

46       요즘 뜨는 학과

           가천대학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48       모두의 공부법 새 학기 공부 어떻게 해요?

50       모두의 놀이터 2·3월 청소년 활동 캘린더

52       J기자의 책방 탐방 최인아책방

54       이기자의 해볼라GO 새해 소원팔찌 만들기

56       MODU의 아트

           살바도르 달리: Imagination and Reality

60       MODU의 문화

62       MODU의 서재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비거니즘

64       MODU의 카툰

잡지 소개)

MODU는 2011년에 창간한 국내 최초의 진로 전문 매체입니다. 대한민국 모든 청소년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고자 서울대학교 학생이 창간한 잡지로, 현재 ㈜모두커뮤니케이션즈가 발행하고 있습니다. 사회 각 분야의 멘토 인터뷰를 비롯해 전문 직업, 이색 직업 등 폭넓고 다양한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정보를 청소년 눈높이에 맞춰 담았습니다. 또한 대학 및 학과 탐색, 공부법, 청소년 문화와 교양 정보 등을 두루 다루고 있습니다. 전국의 많은 중․고등학교에서 정기구독하고 있으며, 여러 교사들이 진로 수업 교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MODU는 청소년과 교사, 학부모가 인정하는 대한민국 NO.1 청소년 진로 매거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