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와 꿈 이달의 진로

트렌드 읽기-나라의 힘을 보여주는 무역

나라와 나라를 잇는 무역

K팝, K뷰티, K드라마 등 K-파워가 나날이 규모를 더해가고 있다. 아시아의 작은 나라에 불과한 대한민국이 이처럼 세계를 누빌 수 있게 된 것은 무역의 힘이 크다. 풍부한 것은 내보내고 부족한 것은 받아들이는 단순한 논리에서 시작된 무역은 상호 협력과 이익 추구를 넘어 각 나라의 국력을 매기는 파워게임으로, 또다시 무역전쟁으로 확대되며 중요성이 커져만 가고 있다. 태고부터 미래까지 변함없이 유망한 무역 분야의 직업들을 만나보자.

나라의 힘을 보여주는 무역

 

무역이란 나라와 나라 사이에 서로 필요한 물품, 자본, 기술, 서비스 등을 거래하는 경제활동을 말한다. 인류는 운송 수단이 발달하지 않은 시대부터 무역을 했다. 인류의 역사와 길을 같이한 무역은 각국 경제는 물론 국가 정세에 분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세계 평화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무역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봤다.

 

K-파워, 우리나라의 무역
우리나라는 고조선 시절부터 활발하게 무역이 이루어졌다. 고조선은 모피, 화살, 비단, 구리 등을 중국의 한나라, 남쪽의 진국과 거래했다. 고조선부터 시작한 무역은 신라시대에 가장 활발했다. 장보고는 지금의 완도군에 청해진을 설치해 신라, 중국, 일본과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무역기지를 만들었다. 또한 이곳에서 이슬람 상인들과 거래하며 중동과 서양까지 무역 세력을 확장했다. 고려 시대의 벽란도 역시 신라의 청해진 같은 역할을 했다. 벽란도에는 송, 요(거란), 금, 일본, 아라비아, 페르시아, 동남아 상인들까지 거래를 위해 거쳐 갔다. 당시 벽란도를 거쳐 간 이들을 통해 우리나라가 ‘코리아’라는 발음으로 전 세계에 알려졌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들어와 농업을 중요하게 여기고 상업을 최소화하는 정책이 펼쳐지면서 해상 무역은 날이 갈수록 축소됐다. 이후 일본과의 불평등 조약인 강화도 조약으로 인해 강제로 무역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광복 후 1960년대부터 수출 촉진을 위한 각종 법이 제정됐고, 그 결과 1964년 11월 30일 최초 수출 1억 달러를 달성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그 기세를 몰아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는 점점 성장해왔다. 2011년 12월 5일 1조 달러를 달성한 것이다. 작은 땅, 적은 자원, 천연 자원은 부족했지만 사람이 자원이었던 우리나라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중국, 미국, 독일, 일본, 네덜란드에 이어 수출 6위를 기록하며 경제 선진국 대열에 당당히 입성했다.

세계는 무역 전쟁 중
2017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각국의 무역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미국이 다른 나라에 희생하며 무역을 해왔다며 이에 대한 재정비에 들어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 인도 등이 세계무역기구(WTO)에서 개발도상국 지위를 이용해 무역 특혜를 받고 있다면서 소득이 높은 축에 속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이나 주요 20개국(G20)에 대해서는 특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우리나라는 2019년 10월 25일, 개발도상국 지위를 포기했다. 이에 물 흐르듯 미국은 2020년 2월, 미국과의 무역 관세 부과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지위를 누릴 수 있는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 명단에서 한국과 중국, 홍콩 등 25개국을 제외했다.

이와 같은 미국의 행보에 여러 나라가 ‘총성 없는 전쟁’인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다. 먼저 미국과 가장 큰 무역 전쟁을 벌인 나라는 중국이다. 2018년 3월에 시작된 이 전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 역시 미국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로 맞대응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2018년 4월 중국은 미국산 통신 장비 등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서로 규제를 주고받으며 확대되던 무역 전쟁은 2019년 6월 29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G20 회의에서 휴전을 하는 듯 보였으나, 2개월 후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며 두 나라의 전쟁의 불씨가 다시 지펴졌다. 약 2년간의 대립 끝에 미국과 중국은 휴전에 들어갔지만, 덩치 큰 두 나라의 무역 전쟁은 그들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고 세계 상업 시장에 지장을 초래해 글로벌 무역 성장에 제동을 걸었다.

최근 미국은 한국, 중국, 일본, 멕시코, 캐나다 등 주요 무역 상대국을 상대로 한 무역 전쟁을 일단락했다. 대신 아직까지 새로운 무역 협정을 맺지 않은 유럽으로 시선을 옮겼다. 미국과 유럽 간 무역 전쟁이 발발하면 미중 무역 전쟁 못지않게 세계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우려되는 점이다. 이렇듯 무역이란 한 나라의 힘을 보여주는 철을 쓰지 않는 무기인 것이다.

 

글 노형연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진행 전정아

 

MODU 정기구독 신청(계좌이체) MODU 정기구독 신청(카드)

NO COMMENTS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