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특집 ⑤] 구석구석 장인명인 전통관련 직업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도 우리 얼, 우리 것은 생활 곳곳에 스며 있다. 각자의 자리에서 전통을 따르며 역사를 잇는 직업을 모았다
기본 중 기본 의식주를 지키는
전통가옥기술자
전통 한식 기법으로 한옥, 사원, 궁궐 등 전통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보수하는 직업이다. 목조건물을 세우기 위해 나무를 깎고 다듬거나 기와를 잇는 업무를 하며, 설계와 시공, 구조등 외형 작업과 온돌, 창호, 가구 등의 실내작업으로 구분한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전통가옥기술자로 일할수 있다.
관련 직업 도편수, 드잡이공, 한식와공, 한식미장공
꽃차 소믈리에
산과 들에서 자라는 각종 풀, 즉 ‘산야초’를 활용해 꽃차를 만들고, 마시는 방법을 알려주거나 계절 또는 개인에게 맞는 꽃차를 제안하는 직업이다. 꽃과 뿌리, 열매 등 꽃차의 원료가 될 부분을 손질하고 닦거나 찌면서 숙성시킨다. 조금의 독성이 있는 원료는 독성을 없애기 위해 삶거나 감초물 등에 담가 말리기도 한다.
관련 직업 차조리사, 바리스타, 약용식물관리사
한식 연구가
한식, 전통음식, 전통식재료, 궁중음식 등을 연구하고 개발하며 국내외로 알리는 직업이다. 한식을 소비하는 주 고객의 연령층, 소비성향, 지역 특성을 분석하고 된장, 고추장등 한식 재료를 활용해 새로운 한식 메뉴를 개발하고 요리 방법을 알리는 것이 주 업무다.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궁중요리를 홍보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등 정책 조언을 맡기도 한다.
관련 직업 궁중요리전문가, 한식조리사
삶을 풍요롭게 문화를 지키는
국악인
국악연주가, 국악성악가, 전통예능인 등 전통음악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직업이다. 국악연주가는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장구 등의 국악기로 국악을 연주한다. 국악성악가는 이러한 국악
기의 장단에 맞춰 가곡, 시조를 노래하거나 판소리, 민요, 창극을 부른다. 전통예능인은 처용무, 악무, 궁중무용인 정재와 승무, 살풀이 등 민속무용을 추거나 전통 가면극이나 연극을 하는 사람을 말한다.
관련 직업 국악작곡가 및 편곡가, 국악이론가
소목장
한옥에 사용하는 전통 창호, 전통 책장이나 문갑, 반닫이장 등 가구를 제작하는 직업이다. 전통 목재 가구는 못이나 나사 없이 짜임과 이음으로 만들며, 구상, 도면 제작, 목재 선택과 대패질, 마름질, 조립과 장식까지 모든 제작 과정을 소목장이 총괄한다. 가장 중요한것은 나무 본연의 아름다움을 살리는 것이다.
관련 직업 소목수, 목조각공, 석조각공
포크아티스트(Fork Artist)
네덜란드, 독일, 미국 등 각 나라의 전통적인 예술과 역사를 연구해서 가구나 생활 용품에 민속그림을 그린다. 넝쿨과 꽃, 나뭇잎 등 자연적인 요소를 주로 그리며 다양한 색깔과 장식을 추가하여 작가 고유의 아름다움을 창조한다. 인테리어나 가구 디자인, 직물에 그림을 그리는 패션 페인팅, 액세서리 등 넓은 분야에 접목할 수 있다.
관련 직업 민속공예가, 도자기 장식예술가
문화재보존가
역사적, 예술적으로 가치가 있는 건축물, 서적, 미술품, 공예품, 조각품 등의 유형문화재를 수리하거나 보존하는 직업이다. 문화재를 X-선 촬영, 현미경 조사로 상태를 확인하고 문화재분석원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존 계획을 세운다. 주로 분리된 조각은 모으고, 취약한 문화재는 강화하며, 제작기법에 따라 원래 모습대로 복원한다.
관련 직업 문화재분석원, 문화재수리기술자, 학예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