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U의 채널] 자신감을 키우고 다른 이의 자신감을 깨우는 법 외
자신감을 키우고 다른 이의 자신감을 깨우는 법
How to build your confidence and spark it in others
‘자신감’의 사전적 정의는 ‘자신이 있다는 느낌’이야. 우리 사회는 지식이나 자원은 가치 있는 것으로 보지만 자신감은 과소평가하고 있지. 하지만 교육자이자 활동가인 브리타니 팩넷은 자신감이야말로 야심 찬 꿈을 현실로 이루게 만드는 데 꼭 필요한 것이라고 해.자신감은 영감(Inspiration)과는 다르게 실제로 무언가를 시도하고, 그 시도를 계속하게 만들어 끝마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거든. 그래서 자신감을 잃으면 우리는 바닥보다 더 아래로 떨어지게 돼. 정상에 올라서도 추락할 수 있고, ‘할 수 없다’, ‘못 한다’, ‘불가능하다’와 같이 부정적이고 혼란스러운 감정에 휩싸이게 만들지.
그렇다면 어떻게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까? 팩넷은 허용과 공동체, 호기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어. ‘행동해도 된다’는 허용은 자신감을 낳고, 행동을 함께하는 공동체는 그것을 살찌우고, 행동에 대한 자문과 호기심은 그 다음 행동을 할 수 있는 동력이 돼서 자신감을 확신할 수 있도록 만든다는 거야. 불공평이 사라지고, 정의가 살아 있고, 안팎에서 모두 자유로우려면 기득권층이 아닌 사람들이 자신감을 가져야 해. 이는 곧 원하는 미래로 가는 열쇠가 되니까. 팩넷은 우리 역시 자신감이 있는 사람이라는 ‘자신’이 있다고 해. 어때, 점점 나를 믿는 힘이 생기는 것 같지 않아?
공상과학 소설이 달로 향하는 데 어떤 영감을 주었을까?
How centuries of sci-fi sparked spaceflight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달을 관찰하며 ‘새로운 세계’를 발견한 뒤부터 사람들은 달로 여행하기를 꿈꾸며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경제학자 알렉산더 맥도널드는 우주를 여행하고 싶은 사람들의 열망을 300여 년 전 이야기에서 포착했어.
그 시작은 영국 성직자 겸 문학가인 프란시스 고드윈의 <달에 간 사나이 혹은 항해 저편에 관한 담론>이었지. 고드윈은 거위의 힘으로 하늘을 나는 기계를 고안해 달로 항해하는 이야기를 썼어. 마법이나 기적이 아니라 ‘인간의 발명품’으로 우주 비행을 한 이야기야.
고드윈의 소설은 1835년 에드거 앨런 포가 발표한 <한스 팔의 전대미문의 모험>이라는 단편 소설에 영향을 미쳤어. 포의 소설 속 세부적 부분과 신빙성은 쥘 베른의 <지구에서 달까지>에 영향을 줬는데, 이 소설은 3명의 탑승자가 3일간 달을 탐사한 것까지 아폴로 프로그램에서 똑같이 이루어졌지.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와 헤르만 오베르트, 로버트 고다드 등 액체연료 로켓을 연구한 초대 개발자들은 모두 어릴 때 읽었던 공상과학 소설에 감명을 받았다고 해. 수백 년간 별을 보며 떠나고 싶어서 만들어낸 이야기가 현실이 된 거야. 이게 바로 앞으로 우리가 더 나은 미래를 다룬 이야기를 만들고, 나눠야 할 이유지.
글 전정아 ●사진 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