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의 세계, 뇌를 연구하다 뇌과학 관련 직업
뇌과학’에 관심이 생겼다면 이제 진출 분야가 궁금해질 차례. 뇌과학을 활용하는 분야를 나눠 유망 직업을 추렸다.
기술을 사람답게
직업 전망 인공지능 및 로봇 관련 일자리의 지속적인 증가 예상
진출 분야 IT 관련 기업체 및 정부 산하 연구소
필요 능력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 활용 능력, 창의력, 탐구 정신, 끈기
지능형로봇연구원
‘지능형 로봇’이란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해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로봇을 말한다. 지능형 로봇에게는 인간의 뇌구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로봇이 인간처럼 생각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지능형로봇연구원은 이러한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신경회로망연구원
신경회로망연구원은 인간처럼 사고하는 능력을 갖춘 반도체칩을 개발한다. 신경 회로망이란 인간의 두뇌나 신경 세포의 반응 및 결합 구조를 따라 만든 전자 회로망이다. 신경 회로망은 영상 및 음성인식, 로봇 제어, 통신 등 인공지능형 반도체와 응용기술 연구에 활용된다.
감성인식기술전문가
사람의 표정, 음성, 뇌파 등으로 인간의 여러 감성을 컴퓨터가 인지하고, 그 감성을 이용해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연구한다. 감성인식 기술을 기존 IT 제품 및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할 방법을 연구하기도 한다.
사람을 사람답게
직업 전망 현대인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뇌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전문가 수요 증가
필요 능력 공감 능력, 정확성, 스트레스 감내성, 인내력
진출 분야 각 병원, 클리닉, 브레인 트레이닝 관련 센터
뇌파기사
신경계질환 또는 뇌장애를 검진하는 뇌파검사기를 사용해 신경세포의 활동을 측정하고 검사하며 기록한다. 뇌전도기의 스위치를 조작해 검사하는 환자의 상태나 움직임을 관찰해 분석하며, 검사 협조가 어려운 경우나 소아환자에게는 수면뇌파검사를 실시한다.
브레인트레이너
건강한 두뇌 활용을 위해 훈련자의 두뇌 상태를 진단하고, 이에 알맞은 두뇌 훈련 프로그램을 계획해 실시한다. 신체활동, 정신운동, 스트레스 관리법 등 ‘기초 두뇌 훈련’과 정서조절, 집중력, 기억력, 공간지각 등 ‘인지 기능 훈련’, 창의적 사고 기능, 문제해결능력 등 ‘창의성 훈련’으로 나눠 훈련한다.
임상심리사
정신 건강에 문제를 겪는 환자 및 내담자에게 면접과 심리 검사 방법을 통해 인지능력과 정서, 성격, 적성 등을 검사하고, 평가를 내려 문제해결을 돕는 직업이다. 정신건강 문제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심리치료 연구를 수행한다.
글 전정아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참고 자료 워크넷, 커리어넷